2.
오늘 말씀의 주인공인 사도 바울을 보라. 지금 그에게 아내, 자녀, 재산, 자유도 없었다. 하지만 그는 항상 기뻐하고, 범사에 감사하라고 말씀한다. 이것이 하나님의 뜻이기 때문이다(5:16,18). 어떻게 범사에, 모든 일에 감사할 수 있나요? Look at the main character of today’s text, the apostle Paul. He had no wife, children, property, or freedom. But he always rejoices &tells us to be thankful in all circumstances. Because this is God's will (5:16, 18). How can we be thankful in all things and in everything?
돈 베이커 목사님이 쓴 [감사 요법](Thank you therapy)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의 내용 가운데 이런 말이 나옵니다. “감사는 환경을 변화시키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태도를 변화시킵니다.” 감사가 조건과 환경을 변화시키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감사는 나의 마음가짐을 바꾸어 나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나 자신을 변화시킨다는 말입니다. There is a book called [Thank You Therapy] written by Pastor Don Baker. In the book, there is a saying, “Gratitude does not change circumstances. But it changes attitudes.” This means that gratitude does not chang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However, gratitude changes my mindset, changes my attitude, and changes me.
실제로 그렇습니다. 우리가 아무리 감사해도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되지 않습니다. 아무리 감사해도 장애를 가진 사람이 정상인이 될 수는 없습니다. 아무리 감사해도 키 작은 사람이 키 큰 사람이 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감사하면 가난해도 부자 이상 행복해 질 수는 있습니다. 감사하면 장애가 있어도 정상인보다 행복해 질 수 있습니다. 감사하면 키가 작아도 키 큰 사람보다 행복해 질 수 있습니다.
This is true. No matter how thankful we are, poor people do not become rich. No matter how thankful we are, disabled people cannot become normal. No matter how thankful we are, short people cannot become tall. However, if we are thankful, even poor people can become happier than rich people. If we are thankful, even disabled people can become happier than normal people. If we are thankful, even short people can become happier than tall people.
감사요법이라는 책을 보면 두 가지 예가 나옵니다. 첫째가 캐롤이라는 여자의 예입니다. 이 여자는 32세이지만 몸은 여섯 살짜리 어린아이만합니다. 다리도 없고 팔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인생을 누구보다도 밝게 살아갑니다. 그녀가 어떻게 그런 몸으로 그렇게 인생을 밝게 살아갈 수 있게 되었을까요?
If you look at the book Gratitude Therapy, there are two examples. The first is the case of a woman named Carol. She is 32 years old, but her body is like that of a six-year-old child. She has no legs or arms. However, she lives her life brighter than anyone else. How did she live her life so brightly with such a body?
캐롤은 이렇게 답을 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내가 이런 몸으로 태어나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만일 하나님께서 허락하셨다면 거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내가 이것을 깨닫게 됐습니다. 그러자 불평과 원망이 사라지고 하나님을 찬양하고 감사할 수 있었습니다. 그 감사가 내 인생을 새롭게 살게 해주었습니다.”
Carol answered like this. “God allowed me to be born with this body. If God allowed it, there must be a reason. I realized this. Then my complaints and resentment disappeared, and I was able to praise and thank God. That gratitude gave me a new lease on life.
둘째가 안드레아 보첼리(1958-현재, 이태리 세계적인 성악가)라는 남자의 예입니다. 이 사람은 열 살 때, 공에 맞아 시력을 잃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시력을 잃고 난 당시 상황을 이렇게 말했습니다. “시력을 잃은 것을 슬퍼하는 데는 일주일이면 충분했다. 그러나 슬픔을 이길 수 있었고, 현재 상황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었고, 다행히 이런 상황마저도 감사할 수 있었다.” 그는 시력을 잃고 난 뒤 더욱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결국 그는 변호사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변호사가 된 뒤에, 너무도 노래가 부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퇴근 후에 한 까페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그는 세계적인 성악가가 되었습니다.
The second is the example of a man named Andrea Bocelli (1958-present, world-renowned Italian vocalist). He lost his eyesight when he was ten years old after being hit by a ball. However, he described his situation at the time of losing his eyesight as follows: “It took me a week to mourn the loss of my eyesight. However, I was able to overcome the sadness, accept and acknowledge my current situation, and fortunately, I was able to be grateful for this situation.” After losing his eyesight, he studied even harder. Eventually, he became a lawyer. However, after becoming a lawyer, he wanted to sing so badly. So he started singing at a cafe after work. Eventually, he became a world-renowned vocalist.
그렇습니다. 감사는 환경을 변화시킬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감사는 나의 마음가짐을 변화시킵니다. 인생을 대하는 나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나 자신을 변화시킵니다. 그래서 환경을 뛰어넘어서 복된 삶을 살게 합니다. 사실 사람들은 그 마음이 환경에 갇혀 삽니다. 가난한 사람은 그 가난 속에 마음이 갇혀 있어서 늘 불행합니다. 장애를 가진 사람은 그 장애 속에 마음이 갇혀 있어서 늘 불행합니다. 배우지 못한 사람은 그 무지 속에 마음이 갇혀 있어서 늘 불행합니다. 그러나 감사는 우리의 마음이 환경을 뛰어넘을 수 있게 해 주는 힘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 감사의 힘으로 환경을 뛰어넘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Yes, gratitude cannot change the environment. However, gratitude changes my mindset. It changes my attitude toward life and further changes me. Therefore, it transcends the environment and allows me to live a blessed life. In fact, people live with their hearts trapped in their environment. Poor people are always unhappy because their hearts are trapped in poverty. Disabled people are always unhappy because their hearts are trapped in their disabilities. Uneducated people are always unhappy because their hearts are trapped in ignorance. However, gratitude has the power to enable our hearts to transcend circumstances. With the power of gratitude, we can transcend circumstances and live a happy life.
사도 바울은 복음을 전하다가 로마 감옥에 투옥되었습니다. 이미 나이 60이 넘었습니다. 몸에 지병이 있어 늘 불편합니다. 게다가 감옥에서 옥사하거나 순교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당시 그의 조건과 환경은 정말 열악했습니다. 그래서 불평하고 원망하는 것이 당연하고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그가 로마 감옥에서 쓴 편지 옥중서신 4권(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를 보면 한결 같이 감사한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The Apostle Paul was imprisoned in a Roman prison while preaching the gospel. He was already over 60 years old. He had a chronic illness and was always uncomfortable. Furthermore, he was in a situation where he had no choice but to die in prison or be martyred. At that time, his conditions and environment were truly poor. So it was natural and common to complain and resent. However, if you look at the letters he wrote from the Roman prison, the four prison epistles(Ephesians, Philippians, Colossians, Philemon), they all consistently record that he was thankful.
옥중서신 네 곳을 차례로 보겠습니다. 엡1:16을 보면 “내가 기도할 때에 기억하며 너희로 말미암아 감사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라고 했습니다. 빌1:3을 보면 “내가 너희를 생각할 때마다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며”라고 했습니다. 골1:3을 보면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기도할 때마다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감사하노라”고 했습니다.
Let’s look at the four prison epistles in order. In Ephesians1:16, it says, “I do not cease to give thanks for you, remembering you in my prayers…” In Philippians1:3, it says, “I thank my God every time I remember you…” In Colossians1:3, it says, “We thank the God an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every time we pray for you…”
그리고 몬1:4을 보면 “내가 항상 내 하나님께 감사하고 기도할 때에 너를 말함은”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바울은 감옥에 갇혀 있으면서도 늘 감사했다는 것입니다. 그 감사가 그의 마음을 그가 맞고 있는 견디기 힘든 조건과 상황을 뛰어넘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도 행복한 삶을 살게 했습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가 감사하면 우리 마음이 조건과 환경을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마음이 우리를 변화시켜줍니다.
And in Philemon1:4, it says, “I thank my God always, making mention of you in my prayers…” So, even though Paul was imprisoned, he was always thankful. That gratitude made his heart transcend the difficult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he was facing. And he lived a happy life even in them. That's it. When we are grateful, our hearts can transcend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And that heart changes us.
빌 4:11-13에서 말씀한다. 11.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나는 자족하기를 배웠노니 12.나는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 곧 배부름과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처할 줄 아는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13.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Phil 4:11-13, 11.I am not saying this because I am in need, for I have learned to be content whatever the circumstances. 12.I know what it is to be in need, and I know what it is to have plenty. 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whether well fed or hungry, whether living in plenty or in want. 13.I can do everything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우리가 어떻게 바울처럼 범사에 자족하고 감사하며 살 수 있을까요? 13절에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말씀한다. 그렇다.
How can we live content and thankful in all things like Paul? Verse 13 says that I can do all things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Y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