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개의 족보(톨레도트)로 보는 창세기의 구조 및 족보의 의미>
<열 개의 족보(톨레도트)로 보는 창세기의 구조 및 족보의 의미>
● 창세기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용어가 톨레도트(족보, 내력 등)입니다. 창세기는 서론(1:1-2:4a, 천지 창조)과 열 개의 톨레도트로 구성됩니다.
톨레도트는 주로 중심 인물의 동시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여섯 개의 수평 톨레도트와 직계 자손의 흐름을 중심으로 기록된 네 개의 수직 톨레도트로 나누어집니다. 전자에는 천지(2:4b-4:26), 노아(6:9- 9:29), 셈 함 야벳과 바벨탑(10:1-11:9), 아브라함(데라, 11:27-25:11), 이삭(25:19-35:29), 야곱의 톨레도트(37:2-50 :26)가 속한다. 후자에는 아담(5:1-6:8), 셈(11:10 -26), 이스마엘(25:12-18), 에서 톨레도트(36:1 - 37:1)가 속한다.
위 도표에서 5, 7, 9는 모두 그 다음에 이어서 나올 족보의 주인이 되는 인물 앞에 위치하면서 하나님의 약속의 씨라는 중심 주제에서 멀어지는 사람들로서 이후 이야기에서 배제된다.
창세기는 이 톨레도트 구조를 통해, 한편으로 인간 역사 속에 뿌리 깊이 흐르는 인간의 죄성을 보여준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죄성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선택하신 약속의 씨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완성이라는 최후 비전을 이루기 위해 하나님이 역사를 주관하시고 계심을 보여준다(주권).
* (창세기) 족보의 10 가지 의미
1. 계보의 기록: 아담부터 예수 그리스도까지 이어지는 계보로 인류의 역사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2. 하나님의 약속/언약의 연속성:족보는 아브라함과 그 후손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약속과 언약의 연속성을 드러낸다.
3. 역사적 연결성:족보는 인류 역사의 중요한 인물들과 사건들을 시간의 흐름 속에서 성경의 전체적인 역사적 배경을 이해시켜 준다.
4. 선민의 정체성:족보는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민족으로 그들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강화시켜 준다.
5. 인간의 타락과 구속의 필요성:족보에는 죄의 확산과 타락의 역사가 포함되어 있어 인간의 구속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6. 메시야의 족보: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메시야의 도래가 하나님의 계획 속에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7. 인류의 다양성과 통일성:족보는 인류의 기원과 분포를 기록하여 인류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보여준다.
8. 인간의 유한성과 영생의 필요성:족보를 통해 인류 탄생과 죽음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유한한 삶을 강조하고, 영원한 생명의 필요성을 암시한다.
9.세대간의 연결:족보는 세대와 세대간의 연속성을 나타내어 하나님의 역사가 한 세대에서 끝나지 않고, 계속 이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10.하나님의 주권적 섭리:족보를 통해 하나님께서 인류의 역사와 삶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를 강조한다.